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헷갈리는 가족 호칭, 이제 걱정 마세요! (시댁, 처가, 친척 관계 완벽 정리)

by xowls 2025. 3. 21.

 

    728x90

    헷갈리는 가족 호칭, 이제 걱정 마세요! (시댁, 처가, 친척 관계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살면서 꼭 알아야 하지만 헷갈리기 쉬운 가족 호칭에 대해 속 시원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특히 명절이나 가족 행사 때마다 '뭐라고 불러야 하지?' 고민했던 분들, 주목해주세요! 😊

    저도 그랬거든요... 어색한 침묵 속에 "저기...음..." 하다 결국 말 더듬었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 이제 더 이상 당황하지 마시고, 이 글 하나로 가족 호칭 마스터가 되어 보세요!

     

    ✅ 이 글 하나로 해결!

    • 나를 기준으로 친가, 외가 촌수 계산 & 호칭 완벽 정리
    • 남편/아내 기준 시댁, 처가 호칭 한눈에 보기
    • 부모님이 며느리, 사위 부를 때 호칭
    • 헷갈리는 호칭 완벽 정리 (처남/형님 구분법, 시댁 호칭 주의점 등)
    • 자녀가 알아야 할 호칭까지!

    가족 호칭

    시댁 호칭

    처가 호칭

    친척 호칭

    촌수 계산

    호칭 정리

    명절 호칭

    결혼 후 호칭

    가족 관계


    1. 나를 기준으로 보는 친가(아버지) 쪽 촌수 계산 & 호칭

    먼저 나를 기준으로 친가 쪽 촌수와 호칭을 알아볼게요. 촌수 계산,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간단한 규칙만 알면 정말 쉬워요. 😉

    [촌수 계산 핵심 규칙]

    • 직계 (위, 아래): 1촌씩 증가 (나 - 아버지 - 할아버지...)
    • 방계 (좌, 우): 2촌씩 증가 (나 - 형제자매 - 고모/삼촌...)
    • 아래로 내려갈 때: 무조건 1촌씩 증가

    [촌수 & 호칭 정리 (나를 기준)]

    관계 촌수 호칭
    아버지 1촌 아버지
    어머니 1촌 어머니
    할아버지 2촌 할아버지
    할머니 2촌 할머니
    증조할아버지 3촌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 3촌 증조할머니
    형제자매 2촌 형, 오빠, 누나, 여동생
    고모/큰아버지/작은아버지 3촌 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고모부/큰어머니/작은어머니 3촌 고모부, 큰어머니, 작은어머니
    사촌 4촌 사촌형, 사촌누나, 사촌동생
    자녀 1촌 아들, 딸
    손자/손녀 2촌 손자, 손녀

     

    2. 나를 기준으로 보는 외가(어머니) 쪽 촌수 계산 & 호칭

    외가 쪽도 친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촌수를 계산하고 호칭을 사용하면 됩니다.

    [촌수 & 호칭 정리 (나를 기준)]

    관계 촌수 호칭
    외할아버지 2촌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2촌 외할머니
    외삼촌/이모 3촌 외삼촌, 이모
    외사촌/이종사촌 4촌 외사촌, 이종사촌

    3. 남편을 기준으로 본가와 처가(부인) 쪽 식구들 호칭 총정리

    결혼 후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남편과 아내의 입장에서 시댁, 처가 식구들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죠! 남편분들, 이 표 하나만 기억하세요! 😉

    [본가 (남편 기준)]

    관계 호칭
    형의 부인 형수님
    누나의 남편 매형(자형)
    남동생의 부인 제수씨
    여동생의 남편 매제(매부)

    [처가 (남편 기준)]

    관계 호칭
    처의 아버지 장인어른
    처의 어머니 장모님
    처의 언니와 남편 처형, 형님
    처의 오빠와 부인 손윗처남(형님), 손윗처남댁(아주머니)
    처의 남동생과 부인 처남, 처남댁
    처의 여동생과 남편 처제, 동서

    ⚠️ 주의!: 처의 오빠가 나보다 어릴 때, "형님"이라고 부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공식적으로는 "처남"이 맞습니다. 처의 입장에서만 윗사람이기 때문이에요.

    4. 부인을 기준으로 본가와 시댁(남편) 쪽 식구들 호칭 총정리

    이번엔 아내 입장에서 시댁 식구들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아내분들, 꼼꼼하게 확인해 보세요! 😊

    [본가 (아내 기준)]

    관계 호칭
    언니의 남편 형부
    오빠의 부인 올케(새언니)
    남동생의 부인 올케
    여동생의 남편 제부

    [시댁 (아내 기준)]

    관계 호칭
    남편의 아버지 시아버지
    남편의 어머니 시어머니
    남편의 누나와 남편 시누이(형님), 시자부(아주버님)
    남편의 형과 부인 시아주버니, 손윗동서(형님)
    남편의 남동생과 부인 시동생(도련님/서방님), 동서
    남편의 여동생과 남편 시누이(아가씨), 시매부

    ⚠️ 주의!: 남편의 남동생을 부를 때, 결혼 전에는 "도련님", 결혼 후에는 "서방님"으로 호칭이 달라진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5. 부모님이 부르는 며느리와 사위의 호칭

    마지막으로, 부모님 입장에서 며느리와 사위를 부를 때 어떤 호칭을 사용하는지 알아볼게요.

    [처가 부모님 (사위)]

    • ○서방
    • 여보게
    • ○○아비(아범)

    [본가 부모님 (며느리)]

    • 아가
    • 새아가
    • ○○어미(어멈)


    휴, 드디어 가족 호칭 완벽 정리 끝! 어떠세요? 이제 자신감이 좀 생기셨나요? 😉

    이 글을 꼼꼼히 읽고 숙지하시면, 더 이상 가족 행사에서 호칭 때문에 당황하는 일은 없을 거예요! 혹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과 댓글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응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추천글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어렵지 않은 소득세 계산!)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사업, 근로, 임대, 이자, 배당, 기타 소득 등을 통해 벌어들인 1년간의 총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신고해

    cominbe.tistory.com

     

     

    2025 넷플릭스 요금제 비교 & 할인 방법 총정리

    2025 넷플릭스 요금제 비교 & 할인 방법 총정리: 똑똑하게 즐기는 꿀팁 대방출! 🍯안녕하세요! 넷플릭스 없이는 못 사는 넷플릭스 여러분들을 위해, 2025년 최신 넷플릭스 요금제 정보와 알뜰하게

    cominbe.tistory.com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신청 방법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신청 방법혹시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정부가 지원하는 이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cominbe.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