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가족 호칭, 이제 걱정 마세요! (시댁, 처가, 친척 관계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살면서 꼭 알아야 하지만 헷갈리기 쉬운 가족 호칭에 대해 속 시원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특히 명절이나 가족 행사 때마다 '뭐라고 불러야 하지?' 고민했던 분들, 주목해주세요! 😊
저도 그랬거든요... 어색한 침묵 속에 "저기...음..." 하다 결국 말 더듬었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 이제 더 이상 당황하지 마시고, 이 글 하나로 가족 호칭 마스터가 되어 보세요!
✅ 이 글 하나로 해결!
- 나를 기준으로 친가, 외가 촌수 계산 & 호칭 완벽 정리
- 남편/아내 기준 시댁, 처가 호칭 한눈에 보기
- 부모님이 며느리, 사위 부를 때 호칭
- 헷갈리는 호칭 완벽 정리 (처남/형님 구분법, 시댁 호칭 주의점 등)
- 자녀가 알아야 할 호칭까지!
가족 호칭
시댁 호칭
처가 호칭
친척 호칭
촌수 계산
호칭 정리
명절 호칭
결혼 후 호칭
가족 관계
1. 나를 기준으로 보는 친가(아버지) 쪽 촌수 계산 & 호칭
먼저 나를 기준으로 친가 쪽 촌수와 호칭을 알아볼게요. 촌수 계산,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간단한 규칙만 알면 정말 쉬워요. 😉
[촌수 계산 핵심 규칙]
- 직계 (위, 아래): 1촌씩 증가 (나 - 아버지 - 할아버지...)
- 방계 (좌, 우): 2촌씩 증가 (나 - 형제자매 - 고모/삼촌...)
- 아래로 내려갈 때: 무조건 1촌씩 증가
[촌수 & 호칭 정리 (나를 기준)]
관계 | 촌수 | 호칭 |
---|---|---|
아버지 | 1촌 | 아버지 |
어머니 | 1촌 | 어머니 |
할아버지 | 2촌 | 할아버지 |
할머니 | 2촌 | 할머니 |
증조할아버지 | 3촌 |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 3촌 | 증조할머니 |
형제자매 | 2촌 | 형, 오빠, 누나, 여동생 |
고모/큰아버지/작은아버지 | 3촌 | 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
고모부/큰어머니/작은어머니 | 3촌 | 고모부, 큰어머니, 작은어머니 |
사촌 | 4촌 | 사촌형, 사촌누나, 사촌동생 |
자녀 | 1촌 | 아들, 딸 |
손자/손녀 | 2촌 | 손자, 손녀 |
2. 나를 기준으로 보는 외가(어머니) 쪽 촌수 계산 & 호칭
외가 쪽도 친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촌수를 계산하고 호칭을 사용하면 됩니다.
[촌수 & 호칭 정리 (나를 기준)]
관계 | 촌수 | 호칭 |
---|---|---|
외할아버지 | 2촌 | 외할아버지 |
외할머니 | 2촌 | 외할머니 |
외삼촌/이모 | 3촌 | 외삼촌, 이모 |
외사촌/이종사촌 | 4촌 | 외사촌, 이종사촌 |
3. 남편을 기준으로 본가와 처가(부인) 쪽 식구들 호칭 총정리
결혼 후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남편과 아내의 입장에서 시댁, 처가 식구들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죠! 남편분들, 이 표 하나만 기억하세요! 😉
[본가 (남편 기준)]
관계 | 호칭 |
---|---|
형의 부인 | 형수님 |
누나의 남편 | 매형(자형) |
남동생의 부인 | 제수씨 |
여동생의 남편 | 매제(매부) |
[처가 (남편 기준)]
관계 | 호칭 |
---|---|
처의 아버지 | 장인어른 |
처의 어머니 | 장모님 |
처의 언니와 남편 | 처형, 형님 |
처의 오빠와 부인 | 손윗처남(형님), 손윗처남댁(아주머니) |
처의 남동생과 부인 | 처남, 처남댁 |
처의 여동생과 남편 | 처제, 동서 |
⚠️ 주의!: 처의 오빠가 나보다 어릴 때, "형님"이라고 부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공식적으로는 "처남"이 맞습니다. 처의 입장에서만 윗사람이기 때문이에요.
4. 부인을 기준으로 본가와 시댁(남편) 쪽 식구들 호칭 총정리
이번엔 아내 입장에서 시댁 식구들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아내분들, 꼼꼼하게 확인해 보세요! 😊
[본가 (아내 기준)]
관계 | 호칭 |
---|---|
언니의 남편 | 형부 |
오빠의 부인 | 올케(새언니) |
남동생의 부인 | 올케 |
여동생의 남편 | 제부 |
[시댁 (아내 기준)]
관계 | 호칭 |
---|---|
남편의 아버지 | 시아버지 |
남편의 어머니 | 시어머니 |
남편의 누나와 남편 | 시누이(형님), 시자부(아주버님) |
남편의 형과 부인 | 시아주버니, 손윗동서(형님) |
남편의 남동생과 부인 | 시동생(도련님/서방님), 동서 |
남편의 여동생과 남편 | 시누이(아가씨), 시매부 |
⚠️ 주의!: 남편의 남동생을 부를 때, 결혼 전에는 "도련님", 결혼 후에는 "서방님"으로 호칭이 달라진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5. 부모님이 부르는 며느리와 사위의 호칭
마지막으로, 부모님 입장에서 며느리와 사위를 부를 때 어떤 호칭을 사용하는지 알아볼게요.
[처가 부모님 (사위)]
- ○서방
- 여보게
- ○○아비(아범)
[본가 부모님 (며느리)]
- 아가
- 새아가
- ○○어미(어멈)
휴, 드디어 가족 호칭 완벽 정리 끝! 어떠세요? 이제 자신감이 좀 생기셨나요? 😉
이 글을 꼼꼼히 읽고 숙지하시면, 더 이상 가족 행사에서 호칭 때문에 당황하는 일은 없을 거예요! 혹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과 댓글 부탁드려요! 여러분의 응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추천글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어렵지 않은 소득세 계산!)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사업, 근로, 임대, 이자, 배당, 기타 소득 등을 통해 벌어들인 1년간의 총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신고해
cominbe.tistory.com
2025 넷플릭스 요금제 비교 & 할인 방법 총정리
2025 넷플릭스 요금제 비교 & 할인 방법 총정리: 똑똑하게 즐기는 꿀팁 대방출! 🍯안녕하세요! 넷플릭스 없이는 못 사는 넷플릭스 여러분들을 위해, 2025년 최신 넷플릭스 요금제 정보와 알뜰하게
cominbe.tistory.com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신청 방법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신청 방법혹시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정부가 지원하는 이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cominbe.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가능성에 대한 모든 정보 (0) | 2025.03.24 |
---|---|
기내 반입 금지 물품(총정리) 모르면 공항에서 압수당한다! (0) | 2025.03.22 |
버스 탈 때 버스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0) | 2025.03.21 |
갑자기 작아진 아이폰 알람소리 1분만에 간단해결(원인과 대처법) (0) | 2025.03.21 |
배달의민족 한집배달, 알뜰배달, 가게배달의 차이점 완벽 정리! (0)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