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포함! 제대로 된 급여 계산법 알아보기 (2025년 기준)
급여 계산은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주휴수당을 포함한 올바른 계산법을 이해하면, 근로자가 정당한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기준(10,030원)으로 기본급, 주휴수당, 세금 공제 등을 포함한 급여 계산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2025년 최저임금 및 기본 급여 계산법
2025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10,030원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시급, 일급, 월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시급 계산법
- 시급 = 최저시급(10,030원)
✅ 일급 계산법
- 일급 = 시급 × 하루 근무 시간
- 예) 하루 8시간 근무 시:
- 10,030원 × 8시간 = 80,240원
- 예) 하루 8시간 근무 시:
✅ 월급 계산법
- 월급 = 시급 × 월 법정 근로시간(209시간 기준)
- 10,030원 × 209시간 = 2,097,270원
기본 급여를 계산한 후, 주휴수당을 포함해야 합니다.
2. 주휴수당 계산법 (2025년 기준, 최저시급 10,030원 적용)
주휴수당이란?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을 채웠을 경우, 유급으로 하루치 추가 급여를 받는 제도입니다.
- 따라서, 주 5일 이상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계산 공식
-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 예) 하루 8시간 근무자의 경우:
- 8시간 × 10,030원 = 80,240원
- 예) 하루 8시간 근무자의 경우:
✅ 주휴수당을 포함한 주급 계산
- (5일 근무 시) 주급 = (일급 × 5일) + 주휴수당
- (80,240원 × 5) + 80,240원 = 481,440원
✅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급 계산
- (월 209시간 근무 기준)
- 2,097,270원 + (주휴수당 80,240원 × 4.34주) = 2,445,195원
3.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 계산 (2025년 기준 예상치)
급여에서 공제되는 세금을 고려해야 **실제 수령하는 급여(실수령액)**를 알 수 있습니다.
✅ 공제되는 세금 종류
-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 대략적인 공제 비율 (2025년 기준 예상치)
- 국민연금: 월급의 4.5%
- 건강보험: 월급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 고용보험: 월급의 0.9%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근로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
✅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 예측
(세금 공제율을 약 9~10%로 가정)
- 월급(주휴수당 포함): 2,445,195원
- 세금 공제 예상 (약 9.5%): 232,293원
- 실수령액 (예상): 약 2,212,902원
4. 급여 계산 예시 (2025년 최저임금 적용)
기본 월급 | 10,030원 × 209시간 | 2,097,270 |
주휴수당 | 80,240원 × 4.34주 | 347,925 |
총 급여 | 기본 월급 + 주휴수당 | 2,445,195 |
세금 공제 (약 9.5%) | 2,445,195 × 9.5% | 232,293 |
실수령액 | 총 급여 - 세금 공제 | 2,212,902 |
결론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을 기준으로 근무 시간을 고려한 급여 계산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월급이 늘어나지만,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의 근로 조건에 맞춰 급여를 계산하여 정당한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확인해 보세요!
추천글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어렵지 않은 소득세 계산!)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사업, 근로, 임대, 이자, 배당, 기타 소득 등을 통해 벌어들인 1년간의 총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신고해
cominbe.tistory.com
9급 vs 7급 공무원,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
9급 vs 7급 공무원,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공무원은 안정적인 직업으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직종입니다. 그 중에서도 9급 공무원과 7급 공무원은 공무원 직급의 시작점으로 많이 비교됩니다.
cominbe.tistory.com
2025년 5월 2일, 임시공휴일 될 가능성은?
2025년 5월 2일, 임시공휴일 될 가능성은?2025년 5월 1일(목)은 근로자의 날, 5월 3일(토)은 토요일, 5월 4일(일)은 일요일입니다. 만약 5월 2일(금)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5월 1일부터 4일까지 최장
cominbe.tistor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다자녀 가족이라면 무조건 챙겨야 할 혜택! 다둥이행복카드 완전 정복 (0) | 2025.03.27 |
---|---|
경기 아이플러스카드 I PLUS: 신청 자격부터 방법까지 (0) | 2025.03.27 |
종합소득세 계산하는 법(어렵지 않은 소득세 계산!) (1) | 2025.03.20 |
종합소득세 모의 계산하는 법 (0) | 2025.03.20 |
모든은행들의 은행식별코드(BIC, SWIFT 코드)란? 국제 송금을 위한 필수 정보 (0) | 2025.03.17 |
댓글